티스토리 뷰
오늘은 3D프린터 구매시 가장 기본적으로 고려해야할 3D프린터의 종류에대해서
이야기 하겠습니다. 3D프린터의 종류는 단순히 한가지만 있는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당연히 3D프린터의 출력방식과 재료에따라서 가격도 천차만별로
차이가 나게됩니다. 그중에서 그나마 가장 대중적 FDM 방식의 3D프린터와
SLA 방식의 3D프린터의 차이와 구매시 알아야 할점들을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FDM 방식의 3D 프린터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FDM 3D 프린터란 (Fused Deposition Modeling) 의 약자인데요 현재 가장많이 대중적으로 쓰이고 있는 3D프린터중의 하나입니다.
( FDM방식의 3D프린터)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필라멘트라는 플라스틱 재료를 노즐을 뜨겁게 가열하여서 녹인다음에 조금씩 적층시켜서 하나의 형태를 만드는 방식입니다.
2008년 특허가 풀리면서 개인도 개발할수있게 되었고 가격대도 저렴하죠
1분28초 부터 보시면 FDM 방식의 3D프린터가 어떻게 출력을하는지 더욱 이해하기 편하죠
이제 FDM 방식의 3D프린터의 장단점을 설명하자면 가장먼저
장점
대중적이고 관련 한글자료가 많다.
장비및 재료가격이 저렴하다.
수명이 길다.
강도가 좋다. (후가공이 편함)
단점
출력시간이 오래걸린다.
출력물 표면이 까끌까끌하고 정교하지못하다.
등이 있습니다.
가격대는 먼저 가장 저렴하게 13만원 대부터 시작하여서 수백만원대 까지 천차 만별인데요. 가격대의 기준은 역시 출력물 표면이 깔끔하고 안정성등에 의해서 정해지죠.
그다음은 SLA 방식의 3D 프린터입니다.
(SLA방식의 3D프린터)
SLA 방식의 3D프린터의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레이저를 갈바노메터 라는 거울에 반사시켜 특수한 액상을 경화시켜서 형태를 만드는 방식입니다. 이또한 2006년에 특허가 만료되었습니다.
이또한 영상을 보시면 쉽게 이해할수있습니다.
이제 SLA 방식의 3D프린터의 장단점을 알아봅시다.
장점
출력속도가 빠르다.
표면품질이 깔끔하게나온다.
FDM방식보다 훨씬 작고 정밀한것들을 만들수있음
단점
빛을 넓게쏘면 밝기나 왜곡때문에 크게만들기 힘듬
출력물의 강도가 약함
수명이 짧음
온도에 민감( 상온60도 부터 출력물에 변형이생김 )
기계와 재료 가격이 비쌈
가격대는 기본 수백만원 200만원~ 천만원대 이상도 있습니다.
FDM 방식과 SLA 방식의 3D프린터의 차이는 이정도로 볼수있습니다.
아마 대부분의 3D프린터를 처음 입문하는 이용자들은 SLA방식이 아닌 FDM 방식의
3D프린터를 구매하게 될것인데요 FDM 방식의 3D프린터를 구매할때 또 생각해볼수 있는 선택지가 있는데요 바로 완성된 3D프린터를 구매할지 아니면 조립식의
DIY
3D 프린터 키트를 살지 선택지가 있습니다.
먼저 완성된 상태의 FDM방식의 3D프린터는 안정성이나 품질면에서 우수합니다. 대신 가격이 비싸죠
그다음 조립식 키트형식은 가격이 완성형보다 훨씬저렴합니다. 또한 조립을하면서 3D프린터의 기본적인 원리와 구조를 이해하며 3D프린터에 관한 공부가 상당히 많이됩니다.
품질면도 조립을 제대로하고 보완등을 하면 백만원짜리 완성형 3D 프린터와 별반 다를거없는 퀄리티로 뽑아낼수있습니다.
다만 부품이 불량일 확률도있고 AS가 힘들고 크게는 납땜까지 필요하기때문에 기본적
으로 조립에 능숙한사람이 하는게 좋습니다 .
저는 조립식 키트를 10만원대 가격에 사서 지금도 잘쓰고있는데요 퀄리티도 100만원대의 완성형 방식의 3D프린터와 별반 차이없는것같습니다.
이 이야기에 관해서는 다음포스팅에서 더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기타 3D프린터에관련된 질문등이 있으신분들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T > 3D프린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프린터 관련 개발기사 자격증 신설 과연 쓸모있을까?... (0) | 2018.02.11 |
---|---|
10만원대 가성비좋은 DIY 조립식 3D프린터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8.02.11 |